이산 안준영 관장이 30여년간 복각한 책판의 대표 작품들을 전시한 공간이다. 본 전시실에는 세계 최초의 목판 인쇄본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, 초조대장경, 재조대장경, 한글문화유산 등 다수의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.
특히, 종교적 염원에서 기록문화의 전달매체로 이어지는 책판의 역사적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.
작품명 | 작품내용 |
초조대장경(初雕大藏經) | 대반야바라밀다경(大般若波羅蜜多經) |
대방광불화엄경(大方廣佛華嚴經) | |
금강반야바라밀경(金剛般若波羅密經) | |
어제비장전(御製秘藏詮) | |
가섭부불반열반경(迦葉赴佛般涅槃經) | |
성지세다라니경 | |
재조대장경(再雕大藏經) | 고려 대장경 수창본 대방광불화엄경 |
반야심경(般若心經) | |
종경록(宗鏡錄) 권27 | |
대방광불화엄경변상도 변상도 | |
무구정광대다라니경 | 두루마리 형태로 간행된 세계 最古 목판본 |
신라향가 | 삼국유사에 수록된 14수의 향가 |
삼국유사 | 승려 일연(一然)이 편찬한 사서, 권 제21장 |
남명천화상송증도가 목판 | 보물 제758호 |
직지심체요절 목판 | 여주 취암사에서 간행 |
대방광불화엄경변상도 | 해인사 사간판(寺刊版) |
수월관음도 | 능화판, 해인사본 |
통도사 금강경변상도 | 통도사 사간판(寺刊版) |
권수정업왕생첩경 | 불교 수행도 |
부모은중경 | 정조가 현세 부모님께 효도하는 열 가지 은혜, 용주사 |
수능엄경변상도 | 운홍사의 사간판(寺刊版) |
석씨원류 | 선운사 사간판(寺刊版) |
순신역전 |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충무공 이순신 순국 장면 |
민화 | 벽사용 민화, 까치호랑이 등 |
능화판 | 책의(冊衣)에 무늬를 박아내는 판목 30여점 |
해인사 부모은중경 | 해인사 사간판 |
와당 | 신라, 고구려, 백제 삼국의 기와문양 |
고지도 | 천하도, 동국대총, 고령현내도, 대동여지전도 |
부작류 | 민간신앙을 대표하는 부적 |
훈민정음 언해본 | 세종대왕이 지은 한글 창제 동기 |
훈민정음 해례본 | 국보 70호,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 |
용비어천가 | 조선 건국의 서사시, 권1/권2 |
완판본 | 심청전 상/하권 |
별춘향전, 조웅전, 구운몽 | |
고려가요 | 악장가사 수록 가시리, 청산별곡 |
월인천강지곡 | 세종이 지은 불교 찬가 |
장진주사 | 송강 정철의 권주가 |
단가 | 유교정신 및 효의 가르침을 강조한 시조 |
훈민정음 집자 | 훈민정음 언해본 서문 집자 |
용비어천가 집자 | 용비어천가 1장 집자 |
소유정가 | 박인로가 지은 가사 |
화전별곡 | 유배문학(자암 김구의 경기체가) |
창작목판화 | 한국의 인쇄문화를 계승시킨 창작판화 약300여점 |
실제로 복원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공간이며, 전문적인 연수와 교육이 이루어지는 복합 전시, 판각 교육 공간이다.
복원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직접 관람 할 수 있으며, 제작 과정과 관련된 도구도 함께 볼 수 있다.
목판 인쇄 문화와 친근하게 다가서기 위해 창작한 이산 안준영 관장의 창작 목판화도 함께 감상할 수 있다.